Apple 보안 업데이트에 관하여
Apple은 고객 보호를 위해 보안 문제에 관한 조사를 마치고 패치 또는 출시 버전을 제공할 때까지 관련 내용을 공개하거나, 논의하거나, 확인하지 않습니다. 최신 출시 버전은 Apple 보안 업데이트 페이지에 나와 있습니다.
Apple 보안 문서에서는 가능한 경우 취약점을 CVE-ID로 표시합니다.
보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pple 제품 보안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Safari 12.1
2019년 3월 25일에 출시됨
Safari 읽기 도구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웹 페이지에 Safari 읽기 도구 기능을 활성화하면 범용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이 실행될 수 있음
설명: 로직 문제는 향상된 유효성 확인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6204: Ryan Pickren(ryanpickren.com)
CVE-2019-8505: Ryan Pickren(ryanpickren.com)
WebKit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웹 콘텐츠를 처리하면 임의 코드가 실행될 수 있음
설명: 유형 혼동 문제는 향상된 메모리 처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8506: Google Project Zero의 Samuel Groß
WebKit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웹 콘텐츠를 처리하면 임의 코드가 실행될 수 있음
설명: 메모리 손상 문제는 향상된 상태 관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8535: Tencent Blade Team의 Zhiyang Zeng(@Wester)
WebKit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웹 콘텐츠를 처리하면 임의 코드가 실행될 수 있음
설명: 여러 가지 메모리 손상 문제는 향상된 메모리 처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6201: Venustech의 ADLab에 참여 중인 dwfault
CVE-2019-8518: Google Project Zero의 Samuel Groß
CVE-2019-8523: Apple
CVE-2019-8524: Trend Micro의 Zero Day Initiative에 참여 중인 G. Geshev
CVE-2019-8558: Google Project Zero의 Samuel Groß
CVE-2019-8559: Apple
CVE-2019-8563: Apple
CVE-2019-8638: OSS-Fuzz에서 발견함
CVE-2019-8639: OSS-Fuzz에서 발견함
2019년 5월 30일에 업데이트된 항목
WebKit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웹 콘텐츠를 처리하면 임의 코드가 실행될 수 있음
설명: 메모리 손상 문제는 향상된 메모리 처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8536: Apple
CVE-2019-8544: 익명의 연구원
WebKit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웹 콘텐츠를 처리하면 민감한 사용자 정보가 공개될 수 있음
설명: Fetch API에서 출처 간 문제가 발생했으나 이 문제는 향상된 입력 유효성 확인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8515: James Lee(@Windowsrcer)
WebKit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웹 콘텐츠를 처리하면 임의 코드가 실행될 수 있음
설명: use-after-free 문제는 향상된 메모리 관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7285: Venustech의 ADLab에 참여 중인 dwfault
CVE-2019-8556: Apple
WebKit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악의적인 웹 사이트가 다른 웹 사이트 컨텍스트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음
설명: 로직 문제는 향상된 유효성 확인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8503: Detectify의 Linus Särud
WebKit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웹 콘텐츠를 처리하면 프로세스 메모리가 공개될 수 있음
설명: 유효성 확인 문제는 향상된 로직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7292: 360 ESG Codesafe Team의 Zhunki 및 Zhiyi Zhang
WebKit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샌드 박스가 적용된 프로세스에서 샌드 박스 제한을 우회할 수 있음
설명: 메모리 손상 문제는 향상된 유효성 확인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8562: Georgia Tech의 SSLab 소속 Wen Xu 및 Chaitin Security Research Lab의 Hanqing Zhao
WebKit
대상: macOS Sierra 10.12.6, macOS High Sierra 10.13.6, Mojave 10.14.4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웹 콘텐츠를 처리하면 범용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이 실행될 수 있음
설명: 로직 문제는 향상된 유효성 확인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2019-8551: Ryan Pickren(ryanpickren.com)
감사의 말
Safari
도움을 주신 Ryan Pickren(ryanpickren.com), Payatu Labs(payatu.com)의 Nikhil Mittal(@c0d3G33k) 님께 감사드립니다.
2019년 5월 30일에 업데이트된 항목
WebKit
도움을 주신 Yandex Security Team의 Andrey Kovalev 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