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은 고객 보호를 위해 완벽한 조사를 마치고 필요한 패치 또는 출시가 이루어질 때까지 보안 문제에 대해 공개하거나, 이야기하거나, 확인하지 않습니다. Apple 제품 보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려면 Apple 제품 보안 웹 사이트를 참조하십시오.
Apple 제품 보안 PGP 키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Apple 제품 보안 PGP 키 사용 방법을 참조하십시오.
가능한 경우 CVE ID로 취약성에 대한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안 업데이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pple 보안 업데이트를 참조하십시오.
iOS 8.1.3
AppleFileConduit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afc 명령이 파일 시스템의 보호된 부분에 대한 접근 권한을 허용할 수 있음
설명: afc의 기호 링크 메커니즘에서 취약점이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경로 확인을 추가하여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80: TaiG Jailbreak 팀
CoreGraphics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PDF 파일을 열면 응용 프로그램이 예기치 않게 종료되거나 임의 코드가 실행될 수 있습니다.
설명: PDF 파일을 처리할 때 정수 오버플로우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범위 검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81: iSIGHT Partners GVP Program과 협력하는 Binamuse VRT의 Felipe Andres Manzano
dyld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로컬 사용자가 서명되지 않은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설명: 중복 세그먼트가 있는 Mach-O 실행 파일을 처리할 때 상태 관리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세그먼트 크기 확인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55: TaiG Jailbreak 팀
FontParser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PDF 파일을 열면 응용 프로그램이 예기치 않게 종료되거나 임의 코드가 실행될 수 있습니다.
설명: 서체 파일을 처리할 때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범위 검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83: Apple
FontParser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dfont 파일을 처리할 때 응용 프로그램이 예기치 않게 종료되거나 임의 코드가 실행될 수 있음
설명: .dfont 파일을 처리할 때 메모리 손상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범위 검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84: HP의 Zero Day Initiative와 협력하는 Gaurav Baruah
Foundation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XML 파일을 보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이 예기치 않게 종료되거나 임의 코드가 실행될 수 있음
설명: XML 파서에서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범위 검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85: Apple
IOAcceleratorFamily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성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권한을 사용하여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설명: IOAcceleratorFamily에서 리소스 목록을 처리할 때 null 포인터 역참조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필요하지 않은 코드를 제거하여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86: Google Project Zero의 Ian Beer
IOHIDFamily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성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권한을 사용하여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설명: IOHIDFamily에서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크기 확인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87: TaiG Jailbreak 팀
IOHIDFamily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성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권한을 사용하여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설명: IOHIDFamily에서 리소스 대기열 메타데이터를 처리할 때 확인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메타데이터에 대한 향상된 확인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88: Apple
IOHIDFamily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성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권한을 사용하여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설명: IOHIDFamily에서 이벤트 대기열을 처리할 때 null 포인터 역참조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확인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89: @beist
iTunes Store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웹 사이트가 iTunes Store를 사용하여 샌드 박스 제한을 우회할 수 있음
설명: Safari에서 iTunes Store로 리디렉션된 URL을 처리할 때 악성 웹 사이트가 Safari의 샌드 박스 제한을 우회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iTunes Store에서 열리는 URL의 향상된 필터링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8840: HP의 Zero Day Initiative와 협력하는 lokihardt@ASRT
Kerberos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성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권한을 사용하여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설명: Kerberos libgssapi 라이브러리가 댕글링 포인터가 있는 컨텍스트 토큰을 반환합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상태 관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5352
커널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되거나 손상된 iOS 응용 프로그램에서 커널의 주소를 확인할 수도 있음
설명: 커널 확장과 관련된 API를 처리할 때 정보 공개 문제가 발생합니다. OSBundleMachOHeaders 키가 포함된 응답에 ASLR(Address Space Layout Randomization) 보호를 우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커널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주소가 반환되기 전에 주소를 언슬라이딩하여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91: @PanguTeam, Stefan Esser
커널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성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권한을 사용하여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설명: 공격자가 읽기 전용으로 설계된 메모리에 쓰도록 허용하는 문제가 커널 공유 메모리 하위 시스템에서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공유 메모리 권한을 더욱 엄격하게 확인하여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95: Google Project Zero의 Ian Beer
커널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되거나 손상된 iOS 응용 프로그램에서 커널의 주소를 확인할 수도 있음
설명: mach_port_kobject 커널 인터페이스에서 커널 주소 및 힙 치환 값을 손실하여 주소 공간 레이아웃 임의 선택 보호를 우회하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산 구성에서 mach_port_kobject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여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96: TaiG Jailbreak 팀
libnetcore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샌드박스가 적용된 악성 App은 네트워크가 연결된 데몬에 손상을 줄 수 있음
설명: 네트워크가 연결된 상호 프로세스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할 때 여러 가지 유형 혼돈 문제가 발생합니다. 악의적으로 포맷된 메시지를 네트워크 연결로 보내면 네트워크가 연결된 프로세스로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추가 유형 검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92: Google Project Zero의 Ian Beer
MobileInstallation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성 엔터프라이즈 서명 응용 프로그램은 장비에서 이미 응용 프로그램의 로컬 컨테이너를 제어할 수 있음
설명: 응용 프로그램 설치 프로세스에서 취약점이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엔터프라이즈 응용 프로그램이 특정 시나리오에서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을 무시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93: FireEye, Inc.의 Hui Xue 및 Tao Wei
스프링보드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엔터프라이즈 서명 응용 프로그램이 신뢰를 위한 메시지 없이 실행될 수 있음
설명: 엔터프라이즈 서명 응용 프로그램을 처음 여는 경우 메시지를 표시할 시기를 결정할 때 문제가 발생됩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코드 서명 확인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94: FireEye, Inc.의 Song Jin, Hui Xue 및 Tao Wei
WebKit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성 콘텐츠가 있는 웹 사이트를 방문하면 UI 스푸핑이 야기될 수 있음
설명: 스크롤바 경계를 처리할 때 UI 스푸핑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범위 검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67: Jordan Milne
WebKit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스타일 시트가 출처 간 로드되어 데이터 유출을 허용할 수 있음
설명: img 요소에 로드된 SVG가 출처 간 CSS 파일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SVG에서 외부 CSS 참조의 개선된 차단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4465: iSEC Partners의 Rennie deGraaf
WebKit
대상: iPhone 4s 이후, iPod touch (5th generation) 이후, iPad 2 이후 제품
영향: 악의적으로 제작된 웹 사이트를 방문하면 응용 프로그램이 예기치 않게 종료되거나 임의 코드가 실행될 수 있음
설명: WebKit에서 여러 가지 메모리 손상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향상된 메모리 처리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CVE-ID
CVE-2014-3192: cloudfuzzer
CVE-2014-4459
CVE-2014-4466: Apple
CVE-2014-4468: Apple
CVE-2014-4469: Apple
CVE-2014-4470: Apple
CVE-2014-4471: Apple
CVE-2014-4472: Apple
CVE-2014-4473: Apple
CVE-2014-4474: Apple
CVE-2014-4475: Apple
CVE-2014-4476: Apple
CVE-2014-4477: HP의 Zero Day Initiative와 협력하는 lokihardt@ASRT
CVE-2014-4479: Apple